80%가 잇몸병…반려동물 양치질 꿀팁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민관련링크
본문
많은 반려동물 보호자들은 치아건강 관리에 소홀합니다. 여론조사 업체 입소스의 지난 2016년 조사에 따르면 고양이를 기르는 응답자의 73%, 견주의 43%는 ‘단 한 번도 동물에게 양치질해준 적 없다’고 답했습니다. 이렇다 보니 반려동물 대부분은 잇몸병에 시달립니다. 미국 수의학 공유사이트 펫엠디(Petmd)에 따르면 개, 고양이 등 반려동물의 약 80%는 2살쯤 잇몸병을 앓고 증상이 심해지면서 3살쯤 그 징후가 나타나지요.
증상이 드러날 때는 이미 늦은 경우가 많습니다. 반려동물들은 본능적으로 부상이나 통증을 드러내지 않아 비전문가가 알아차리기 어렵거든요. 발견한다고 해도 이미 발치 외에는 답이 없을 만큼 악화했을 겁니다. 중증의 치주질환을 앓는 동물은 스트레스로 인해 사회성도 크게 떨어집니다. 따라서 올바른 치주질환 예방과 정기검진은 필수입니다. 펫엠디에 소개된 반려견 치아 건강관리 방법을 소개합니다.
사람처럼 반려동물도 젖니를 사용하다가 영구치로 이갈이를 합니다. 개와 고양이의 젖니는 대체로 생후 4~6개월 사이에 빠집니다. 인간 어린이의 젖니가 빠지는 데는 몇 년이 걸리지만 반려동물은 불과 몇 주일이면 된답니다.
참고로 성견의 영구치는 42개입니다. 인간 성인의 32개보다 많지요. 다 자란 고양이의 영구치는 30개입니다.
개, 고양이의 이빨은 가늘고 날카롭습니다. 음식을 자르고 뜯기에 유리한 구조입니다. 개의 앞니는 음식을 잡아 뜯는 역할을 하며, 입속 깊이 자란 이빨은 덩어리를 더 잘게 쪼갭니다. 사람의 넓적한 어금니만큼 음식을 잘근잘근 먹을 수는 없지만 날카로운 이빨로 쪼개 삼키는 것이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